생명과학과는 1994년 창립 이래 꾸준히 발전하여 생명과학분야의 수준 높은 연구와 교육을 목표로 교수진의 충원, 각종 실험실습의 첨단화와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 11개 전공분야 (유전학, 생화학, 바이러스학, 분자생리학, 세포신호전달학, 신경생물학, 구조생물학, 세포생물학, 나노생물학, 생물정보학, 분자면역학)를 담당하는 11명의 전임 교수진이 교육과 연구, 두 분야 모두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학과로 발돋움 하는 것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 바이오 융합 미래인재 양성팀
Homepage : https://uoslifebk21.wixsite.com/uoslifebk21핵심목표 | 1.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 양성 2. 보건, 의료, 제약 산업 및 행정 분야의 전문가 양성 3. 생명과학 융합기술 발전을 위한 창조적 인재 양성 4. 의료 분야의 전문가 배출 |
---|---|
세부목표 | 1. 생명현상을 분자, 세포 단계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1-1 미생물, 식물, 동물의 구조 및 생리현상을 세포 수준에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배양 1-2 개체의 유전법칙을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배양 1-3 생체 분자 및 세포 간의 상호작용 이해를 통해 동물의 생리기능 및 개체의 발생과정을 설명하고 창의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2. 생명현상을 물리, 화학적 원리에 기반을 두어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용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2-1 물리, 화학의 기초 원리를 응용하여 생명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배양 2-2 생체 주요 구성 물질(단백질, 핵산, 지질 등)의 구조-기능적 특성에 대 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한창의적 활용능력 배양 2-3 물리, 화학적 원리를 응용하여 생물학적 제제 및 의약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3. 생명현상을 통계적, 수리적으로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3-1 다양한 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배양 3-2 생물학적 데이터의 수리적 분석을 통해 생명현상을 추론하고 예측할 수 있는 능력배양 3-3 공중 보건과 관련된 생물학적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정책 수립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배양 |
|
4. 생명현상 이해를 위한 창의적 문제제기 및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 배양 | |
4-1 현대 생물학의 주요 주제 및 국제적 이슈에 대해 창의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능력 배양 4-2 다양한 생물학적 문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실험적 방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배양 4-3 동료 간의 원활한 토론 및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계획, 수행하고 결과를 논리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활동 및 진로분야 | 1.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 양성 - 국내외 대학원 진학 및 연구소 진출 2. 보건, 의료, 제약 산업 및 행정 분야의 지도자 양성 - 보건, 의료, 제약, 식품분야의 민관기관 및 국제기구 진출 3. 생명과학 융합기술 발전을 위한 창조적 인재 양성 - 융복합 신기술 분야 진출 4. 의·치·약학 분야의 전문가 배출 - 의치학 전문대학원 진학 |
교과과정 유형 | 전공핵심형 |
● 연관성 매우 큼, ◐ 연관성 보통임, ○ 연관성 약함
◇ 전공능력
연번 | 구분코드 | 전공능력 설명 | 학부·과 교육목표 연관성 |
---|---|---|---|
1 | 기초지식 | 일반적 생명현상의 이해 능력 | 1,2 |
2 | 핵심지식 | 생명현상을 분자, 세포, 동물 수준에서 이해하는 능력 | 1 |
3 | 융합지식 | 생명현상을 화학, 물리, 통계학적 원리 등에 기초하여 이해하는 능력 | 1,2 |
4 | 지식응용 | 생명현상에 대한 종합적 사고를 통한 지식을 응용하고 이해하는 능력 | 1,2,3 |
5 | 분석능력 | 다양한 정보 및 기술을 수집하여 분석/활용/평가하는 능력 | 3,4 |
6 | 설계능력 |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을 설계하는 능력 | 4 |
7 | 문제해결 | 문제제기와 최선의 대안을 평가/선정하여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 3,4 |
8 | 협동능력 | 상호 협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 하는 능력 | 4 |
9 | 의사전달 | 생물학적인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능력 | 4 |
◇ 핵심역량(UOS T-star)과 전공능력 연관성 ※ ● 연관성 매우 큼, ◐ 연관성 보통임, ○ 연관성 약함
핵심역량 전공능력(구분코드) |
전문성 | 소통 | 창의 | ||||||
---|---|---|---|---|---|---|---|---|---|
종합적사고 | 정보·기술활용 | 문제해결 | 공감과협업 | 글로벌감각 | 사회공헌 | 창안 | 융복합 | 혁신 | |
1. 기초지식 | ● | ● | ○ | ||||||
2. 핵심지식 | ● | ● | ○ | ||||||
3. 융합지식 | ● | ● | ○ | ● | ● | ||||
4. 지식응용 | ● | ● | ○ | ● | ● | ○ | |||
5. 분석능력 | ● | ● | ● | ● | ● | ||||
6. 설계능력 | ● | ● | ● | ● | ● | ● | ● | ● | |
7. 문제해결 | ● | ● | ○ | ● | ● | ● | |||
8. 협동능력 | ● | ● | ● | ● | ● | ||||
9. 의사전달 | ● | ● | ● |
① 국제 최고 수준의 R&D 인력의 양성
② 미국 상위권 대학, 국내 최상위권 대학의 연구 수준 도달